목록Python | Web/웹개발 (2)
내가 보려고 만든 블로그
웹개발자가 아닌 나지만 하도 많이 들어본게 바로 Async 비동기 처리. 헷갈렸던 것들을 좀 적어보고 몇가지 개념들 정리해둠. Non Blocknig , Async 우선 non blocking 과 Async , 거의 같은 개념처럼 느껴지는데 솔직히 매우 유사하긴 하다. Async는 프로그래밍의 방식이라고 생각하면된다. Synchronous하게 프로그래밍했다면 return값을 기다리는 방식이고 Async라고 하면 return 을 신경쓰지 않고 다음에 처리할수 있는 것을 처리하러 가게 프로그래밍하는 것. blocking은 반대로 방식이라기 보다는 실제로 물리적으로 일어나는 개념이라고 생각하면된다. io가 실제로 일어나냐 마느냐. Coroutine 비동기 처리가 가능한 함수를 파이썬에서 coroutine이라고..

어쩌다 웹만들어야 할 일이 생겼는데 fastapi 이용해서 백단 만드는 것은 얼추 알겠는데. 화면만드는 법을 전혀 몰라서 만들어야 할 것에 있는 html태그들좀 간단하게 정리해보았다. 1. 문서형식 html이라고 선언하는 부분. 이게 없으면 브라우저들이 제각각으로 랜더링한다고 한다. 2. 문서에 대한 메타정보 ,css 적용, 인코딩방식, 그리고 title 등을 적용하는 곳 . 2- 1 . 외부 소스와의 관계를 정의할때 쓰인다고한다. 헤드 태그안에만 들어갈 수 있으며 주로 외부 css 입힐때 쓰는 가 봄. 링크 태그안에는 rel , href , integrity , crossorigin이 있는데 rel : 외부소스와 어떤관계인지를 정의 href : 외부 리소스의 url integrity: sha로 인코딩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