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보려고 만든 블로그
9 - 프로세스 구조 본문


STACK : 동적인 변수들 , 함수의 인자들 , return 값등이 들어감.
HEAP: 동적 메모리
DATA : global로 선언한 변수들이 들어감 ,
CODE: 코드가 컴파일 되어 저장되는 곳

프로그램 카운터가 코드 한줄한줄을 가르키고
스택포인터는 스택에서 위치 나타냄



- 함수실행하면 return 할 주소가 스택에 담기고
 - heap에 동적으로 메모리( 공간) 을 생성 어떻게 , 얼마만큼 메모리가 필요할지모르니까 공간을 마련해주는 느낌
 - 2의 주소값이 스택에 또 들어감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0 - 프로세스와 컨텍스트 스위칭 (0) | 2021.10.24 | 
|---|---|
| 8 - 인터럽트 (0) | 2021.09.25 | 
| 7 - 선점형과 비선점형 스케줄러 (0) | 2021.09.25 | 
| 6 - 프로세서와 스케줄러의 이해 (0) | 2021.09.25 | 
| 5 - 스케줄링 알고리즘 (0) | 2021.09.25 |